본문 바로가기
지니씨의 별별머니

[초보자 경제뉴스 읽기] 뉴욕 증시 하락, AI 주식 거품, 금리인하 가능성

by jinnyonly13 2025. 11. 18.

뉴욕 증시 하락: AI 주식 거품과 금리 인하 불확실성이 만든 불안한 분위기

최근 뉴욕 증시가 큰 하락을 보였다. 다우존스, S&P 500, 나스닥 모두 하락 마감했는데, 그 배경에는 몇 가지 중요한 이유가 있다고 한다. 바로 인공지능(AI) 주식에 대한 거품 우려와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 후퇴가 주된 원인이다.

getty images

 

1. AI 주식 거품 논란

AI 기술 관련 주식들이 최근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지만, 그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특히 엔비디아와 팔란티어 같은 AI 관련 대기업들의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에 대한 불안감이 증시를 압박하고 있다. '빅쇼트'로 유명한 마이클 버리 같은 유명 투자자는 AI 관련 주식들이 하락할 거라고 예측하며 이들 주식의 하락에 배팅한 상태라고 한다. 정말 AI 버블일까? 

 

AI 주식 거품이란?
AI 주식 거품은,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과도한 기대감 때문에 주식 가격이 실제 기업의 가치보다 훨씬 더 높은 수준으로 올라가는 현상.

 

예를 들어, 엔비디아 같은 회사는 AI 기술 덕분에 엄청난 성장을 이룬 회사로 평가받고 있지만, 그 주식 가격이 너무 과대평가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어요. 이런 거품이 꺼지면, 주식 가격이 급격히 하락할 위험이 있다고 한다.

 

게다가, 억만장자 투자자인 피터 틸이 운영하는 헤지펀드는 최근에 보유하고 있던 엔비디아 주식을 전량 매도고. 이는 큰 투자자들이 AI 관련 주식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getty images

2. 금리 인하 가능성 불확실성

연준의 금리가 12월에 인하될 거라는 기대감도 최근 들어 후퇴하면서 시장의 불안감을 더하고 있다. 금리 인하가 안 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금리에 민감한 업종들—금융, 에너지, 기술—에서 하락폭이 더 커졌다.

 

금리 인하란?
금리 인하는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경제를 자극하기 위해 기준 금리를 낮추는 것을 의미.

금리가 낮아지면 대출이 쉬워지고, 기업들이 투자나 소비를 더 많이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금리 인하는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지만 금리가 낮아지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면, 투자자들은 불안감을 느끼게 되고 시장이 하락할 수 있다.

getty images

3. 업종별 차별화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업종이 다 하락한 건 아니다.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은 버크셔 해서웨이가 대규모로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는 소식에 상승세를 보였고, 커뮤니케이션과 유틸리티 업종도 상승했다. 하지만 엔비디아나 오라클, 팔란티어, AMD 같은 주식들은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업종별 차별화란?
증시에서는 모든 주식이 똑같이 움직이지 않는 것. 어떤 업종은 상승하고, 다른 업종은 하락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AI 관련 주식들은 하락하는 반면, 유틸리티(전기, 가스 등)나 커뮤니케이션(통신 관련) 분야의 주식은 오히려 상승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업종별 차별화'라고 하며, 각 업종의 특성에 따라 시장 반응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getty images

4. 향후 경제 지표가 중요한 시점

앞으로 19일 엔비디아의 3분기 실적 발표와 20일 미국의 9월 고용보고서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이 두 가지 주요 경제 지표가 증시의 향방을 크게 좌우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과연 AI 주식이 다시 상승할지 아니면 계속해서 하락세를 이어갈지, 시장의 반응이 궁금하다. 

 

경제 지표란 ?
경제 지표는 경제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숫자나 통계를 의미

고용보고서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고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

실적 발표는 기업들이 얼마나 돈을 벌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이런 지표들은 투자자들이 경제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결국, 현재 뉴욕 증시는 AI 주식의 거품 우려와 금리 정책 불확실성 속에서 변동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투자자들은 실적 발표와 같은 중요한 경제 지표를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시점이다.

반응형

댓글